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

파키스탄 기본 정보부터 기초적인 우르두어까지, 첫 만남 완벽 준비 가이드

by USBdrive 2025. 5. 5.

파키스탄은 남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로 인도,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아라비아해와 접해 있는 국가이다. 이렇게 육로와 해로, 양쪽으로 전략적 위치를 가지고 있어서 역사적으로 무역과 문명의 교차점 역할을 해왔다. 1947년에 인도로부터 분리 독립한 이후로는 이슬람을 국교로 삼아서 이슬람 공화국이라는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구의 대다수가 무슬림이다. 세계에서는 5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며(2024년 기준 약 2억 4천만 명), 문화적 다양성과 지역별 정체성이 뚜렷한 국가로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분위기가 있다. 
오늘은 이 파키스탄의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실수 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우루두어 표현 몇 가지와 파키스탄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정리해 보았다.

 

<목차>
1. 파키스탄에 대한 기본 배경지식
2. 기초적인 우르두어
1) 인사말
2) 소개말
3) 의사표현
4) 감정표현
5) 호칭
3. 파키스탄인과의 스몰토크 주제

파키스탄의 국기와 대표적인 관광지, 특산품, 요리를 담은 이미지이다.

1. 파키스탄에 대한 기본 배경지식

1) 행정지역과 주요 지역

- 파키스탄은 1개의 연방 수도권 + 4개의 주 + 2개의 특별 행정 지역으로 나뉜다.
 (1) 연방 수도권 (Islamabad Capital Territory) : 파키스탄의 행정 수도인 이슬라마바드(Islamabad)가 위치한 곳이다. 현대적인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계획도시로 다른 대도시에 비해 비교적 조용하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2) 4개의 주 (Provinces)
  ① 펀자브(Punjab) :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거주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이다. 수도는 라호르(Lahore)로, 바드샤히 모스크, 라호르 포트 같은 유명한 유적지가 많아 관광객들에게도 인기다. 문화, 예술, 교육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② 신드(Sindh) : 수도는 카라치(Karachi)이며, 파키스탄의 경제 중심지이다. 특히 카라치의 항구는 파키스탄 최대 무역항으로 금융, 산업, 상업 활동이 활발하다.
  ③ 카이버 파크툰크와(Khyber Pakhtunkhwa) :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수도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페샤와르(Peshawar)이다.
  ④ 발루치스탄(Balochistan) : 파키스탄의 면적의 44%를 차지하는 가장 넓은 주이지만, 인구 밀도는 낮은 곳이다. 천연가스, 구리, 금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수도는 퀘타(Quetta)이다.
 (3) 특별 행정 지역 (Administered Territories)
  ① 길기트-발티스탄(Gilgit-Baltistan) : 파키스탄의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히말라야 산맥과 카라코람 산맥이 교차한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인 K2가 이 지역에 있어서 트레킹과 등산 관광이 매우 활발하다. 수도인 길기트(Gilgit)도 자연경관이 아름다워서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다.
  ② 아자드 잠무 & 카슈미르(Azad Jammu and Kashmir) : 수도는 무자파라바드(Muzaffarabad)이다. 자체 정부, 의회가 있지만 파키스탄 중앙정부의 영향 아래에 있는 곳이다. 인도와의 영토 분쟁이 있는 곳이며, 지리적으로는 히말라야 산맥과 접해있다.

2) 현지 정세 및 소통 환경

 (1) 정치 체제 : 연방 공화국(의회 민주주의) 형태이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 총리는 정부 수반 역할을 한다. 2024년 총선을 통해 새 정부가 구성되었고, 군의 영향력이 여전히 정치에 존재한다.
 (2) 주요 종교 : 국교는 이슬람교이고, 인구의 96% 이상이 무슬림이다. 수니파 비율이 85% 이상으로 매우 높다. 힌두교나 기독교를 믿는 사람도 있지만 극소수이다.
 (3) 치안 : 대도시 일반 관광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아프간 접경지역과 발루치스탄 주에는 무장세력 활동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현지 문화와 종교 관습을 존중하지 않으면 사회적 마찰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방문 시 주의해야 한다.
 !!! 어제 인도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 2025년 4월 기준,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갈등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카슈미르 지역의 실질 통제선에서는 인도와 파키스탄 군의 소규모 무력 충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중이다. 국경 인근과 분쟁 지역의 치안 불안으로 방문이 강력하게 제한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4) 인터넷 환경 : 주요 도시에서는 4G LTE, 와이파이 사용이 가능하다. 속도는 한국보다 느리지만 번역기나 메신저 사용에 큰 불편함은 없다고 한다.
 (5) 온라인 대화 : 대부분 WhatsApp으로 소통한다. 젊은 층은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SNS도 활발하게 사용하는 편이다.

3) 언어 환경과 영어 소통 가능성

 (1) 우르두어(Urdu) : 공식 공용어이다. 문어체와 구어체 차이가 꽤 크다.

구분 문어체 구어체
어휘 페르시아어, 아랍어, 터키어에서 유래한 단어 多 힌디어에서 유래한 단어 多, 비교적 쉬운 표현
문장구조 정중하고 형식적인 문장 짧고 간결한 문장
사용환경 공식 문서, 학술 논문, 뉴스, 연설 일상대화, SNS, 영화, 드라마

 

 (2) 영어 : 행정, 비즈니스, 고등교육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도시 지역 젊은 층과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영어로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3) 그 밖에도 펀자브어(Punjabi), 파슈토어(Pashto), 신디어(Sindhi), 발루치어(Balochi) 등을 사용한다.

 

2. 기초적인 우르두어

1) 인사말

상황 우르두어 [한국어 발음]
안녕하세요 السلام علیکم [아쌀라무 알레이쿰]¹
반갑습니다 آپ سے مل کر خوشی ہوئی [압 쎄 밀 꺼르 후쉬이 후이]
고맙습니다 شکریہ [슈크리야]
실례합니다 معاف کیجئے [무아프 끼지에]
미안합니다 مجھے معاف کریں [무제 무아프 께렌]
안녕히 가세요 اللہ حافظ [알라 하피즈]²

¹ 아쌀라무 일레이쿰에는 와알레이쿰 아쌀람(و علیکم السلام)이라고 답하는 것이 예의이다. 참고로 아쌀라무 일레이쿰은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뜻이고, 와알레이쿰 아쌀람은 '당신에게도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뜻이다.
² 알라 하피즈는 일상적인 작별인사이지만, '알라께서 당신을 보호하시길'이라는 종교적 색채가 있는 인사여서, 무슬림 사이에서 더 자주 쓰인다. 여기에는 같이 알라 하피즈라고 답하면 된다.

2) 소개말

제 이름은 '이름' 입니다 میرا نام ‘이름’ ہے [메라 남 ‘이름’ 해]
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آپ کا نام کیا ہے؟ [압 까 남 끼야 해?]
저는 한국에서 왔어요 (남성) میں کوریا سے آیا ہوں [메인 코리아 쎄 아야 훈]
저는 한국에서 왔어요 (여성) میں کوریا سے آئی ہوں [메인 코리아 쎄 아이 훈]

3) 의사표현

표현 우르두어 [한국어 발음]
ہاں [하안]
جی ہاں [지 하안]
좋아 اچھا [아차]
좋아요 بہت اچھا [바호트 아차]
정말 좋아요 واقعی بہت اچھا [와끼 바호트 아차]
아니/아니오 نہیں [나힌]
싫어 نہیں پسند [나힌 빠산드]
싫어요 مجھے نہیں پسند [무제 나힌 빠산드]
정말 싫어요 مجھے بالکل نہیں پسند [무제 빌쿨 나힌 빠산드]

4) 감정표현

기뻐요 میں خوش ہوں [메인 후쉬 훈]
화나요 مجھے غصہ آیا [무제 구싸 아야]
슬퍼요 میں اداس ہوں [메인 우다스 훈]

5) 호칭

 (1) 정중한 표현
  ① 사합 : 남성 이름 뒤에 붙여서 씨, 님처럼 표현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알리'라는 남성이 있다면, '알리 사합'이라고 하면 된다.
  ② 사합하 : 여성 이름 뒤에 붙이는 존중하는 명칭이다. 예컨대 '아이샤'라는 여성에게는 '아이샤 사합하'라고 불러드리면 된다.
  ③ 모흐따람 : 매우 존경하는 의미를 담은 격식 있는 표현으로, 남성에게 사용된다. 
  ④ 모흐따라마 : 모흐따람과 같은 의미로, 여성에게 사용한다.
 (2) 친근한 표현
  ① 야르 : 한국말로는 '친구야' 같은 뜻이다. 친구, 형제 같은 사이에서 사용한다.
  ② 바이 : 남성에게 사용하는 단어로 오빠, 형을 부르는 관계 호칭이기도 하다. 남동생은 추타 바이라고 하면 된다.
  ③ 바헨 : 여성에게 쓰는 단어로 언니, 누나를 부를 때 쓴다. 여동생은 추띠 바헨이라 부르면 된다.
 > 공식 석상에서는 이름 + 사합/사합하를 조합해 쓰는 게 좋다. 아주 친한 사이가 아니라면 (2)에서 소개한 친근한 호칭은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하안(한국어로는 응, 긍정의 의사표현)이라고 말하는 파키스탄 여성과 나힌(한국어로는 아니, 부정의 의사표현)이라고 말하는 파키스탄 남성이 있는 2컷 만화
하안은 '응', 나힌은 '아니'

3. 파키스탄인과의 스몰토크 주제

1) 전통 음식

 (1) 음식 소개
  ① 비리야니 : 향신료로 맛을 낸 밥요리이다. 닭고기, 양고기, 소고기와 함께 먹는다.
  ② 세크카밥 : 카밥의 한 종류이다. 주로 쇠고기나 양고기를 양념해 꼬치에 끼워 숯불에 구워낸 요리이다.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이다.
  ③ 사지 : 닭고기를 소금과 향신료로 양념해서 구워 먹는 요리이다. 발루치스탄 지역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 그 외에도 난, 사모사도 파키스탄에서 즐겨 먹는다.
 (2) 스몰토크 표현
  ① 맛있어요 : یہ مزیدار ہے [예 마지다르 해]
  ex) 비리야니 정말 맛있어요 : بیریانی بہت مزیدار ہے [비리야니 바호트 마지다르 해]
  ② 더 주세요 : تھوڑا اور دیں [또라 오르 딘]
  ex) 세크카밥 더 주세요 : سیخ کباب تھوڑا اور دیں [세크 카밥 또라 오르 딘]

2) 기념품

 (1) 기념품 소개
  ① 멀탄도자기 : 푸른색과 흰색의 화려한 디자인이 특징인 파키스탄 전통 도자기이다. 우르두어로는 멀타니 카쉬라고 한다. 
  ② 발루치 카펫 : 발루치스탄 지역에서 만든 수제 카펫으로, 정교한 패턴과 튼튼한 내구성이 특징이다. 우르두어로는 발루치칼린이라 한다.
  ③ 샬와르 카미즈 : 파키스탄의 전통 의상으로, 편안한 핏이 특징이다.
 (2) 관련된 표현
  ① 가격이 얼마인가요? : اس کی قیمت کیا ہے؟ [이스 끼 끼맛 끼야 해?]
  ex) 멀탄 도자기 가격이 얼마인가요? : ملتانی کاشی کی قیمت کیا ہے؟ [멀타니 카쉬 끼 끼맛 끼야 해?]
  ② 이거 좋아요 : یہ اچھا ہے [예 아차 해]
  ③ 이거 주세요 : یہ دیجئے [예 디지에]
  ④ 깎아 주세요 : کم کریں [깜 께렌]

3) 관광지

 (1) 공간 소개
  ① 바드샤히 모스크 : 라호르에 위치한 웅장한 이슬람 사원으로, 파키스탄의 상징적인 유적지이다. 우르두어로는 바드샤히 마스지드로 부른다.
  ② 라호르 포트 : 마찬가지로 라호르에 있는 유서 깊은 성곽이다. 우르두어로는 끌라 라호르라고 부른다.
  ③ 카라코람 하이웨이(샤라에 카라코람)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산도로 중 하나로, 중국과 파키스탄을 연결하며, 히말라야 산맥과도 맞닿아 있다.
  ④ 파이살 모스(파이살 마스지드) : 수도 이슬라마바드의 랜드마크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이다.
 (2) 관련 표현
  ① 멋져요 : خوبصورت ہے [후브수랏 해]
  ex) 바드샤히 모스크 정말 멋져요 : بادشاہی مسجد بہت خوبصورت ہے [바드샤히 마스지드 바호트 후브수랏 해]
  ② 대단해요 : شاندار ہے [샨다르 해]
  ex) 카라코람 하이웨이 정말 대단해요 : شاہراہ قراقرم بہت شاندار ہے [샤라에 카라코람 바호트 샨다르 해]
  ③ 신기해요 : یہ حیرت انگیز ہے [예 해라트 앙게즈 해]
  ex) 파이살 모스 신기해요! : فیصل مسجد حیرت انگیز ہے [파이살 마스지드 해라트 앙게즈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