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은 히말라야 산맥에 걸쳐져 있으며(네팔 사람들은 히말라야를 '사가르마타', 즉 '하늘의 머리'라고 부른다)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를 품고 있어서, 세계의 지붕이라는 찬사를 듣는 나라이다. 또한 남아시아에 자리 잡은 내륙국으로 북쪽으로는 중국(티베트 자치구)과 맞닿아 있고, 나머지 세 방향은 인도에 둘러싸여 있는 곳인데, 남한의 1.4배 면적의 좁은 땅 안에 정말 다채로운 민족/언어/종교가 공존하고 있다. 오늘은 이런 네팔에서 온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려 한다.
<목차>
1. 네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2. 기초적인 네팔어
1) 인사말
2) 의사표현
3) 감정표현
4) 자기소개
5) 호칭
3. 네팔인과의 스몰토크 소재
1. 네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1) 수도와 주요 도시
(1) 카트만두(Kathmandu) : 네팔의 수도이자,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힌두교와 불교 유산이 혼합된 역사적인 도시이고,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한다.
(2) 포카라(Pokhara) : 히말라야 트레킹의 관문이다.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어 관광하기에 좋다.
(3) 비라트나가르(Biratnagar) : 네팔 동부에 위치해 있다. 농업 및 제조업이 활발한 산업과 상업의 중심지이다.
2) 종교, 정치, 치안
(1) 종교 : 힌두교 신도가 인구의 80% 이상으로 가장 많고, 10% 정도가 불교, 약 5%가 이슬람교를 믿는다. 힌두교와 불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하고 있는 상태이다.
(2) 정치 : 2008년에 군주제를 폐지하고, 연방 민주 공화국으로 전환했다. 현재는 다당제 기반의 의원내각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대통령은 형식적 국가 원수이고, 총리가 실질적인 행정 수반이다.
(3) 치안 : 전반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지만, 관광지의 소매치기나 사기 피해에 주의해야 하며, 일부 산악 지역의 자연재해(산사태, 지진)를 조심해야 한다.
3) 현지 소통환경
(1) 유심 : 외국인도 공항이나 시내 통신사 대리점에서 현지 유심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2) 와이파이 : 호텔, 카페, 게스트하우스 등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속도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다.
(3) 인터넷 : 대도시에서는 4G LTE 데이터 동신이 원활하지만, 시골이나 산악 지역은 신호가 약하거나 아예 없는 곳도 있다. 인터넷 접속만 된다면 번역기 사용이 가능하므로 소통에 문제가 없으리라 예상된다.
(4) 온라인 대화 : 메신저 중심으로 소통하는 편이다. WhatsApp과 페이스북 메신저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4) 언어
(1) 공용어 : 힌디어와 유사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네팔어(Nepali)가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2) 영어 : 도시 지역, 관광지에서는 영어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외진 곳에서는 영어 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3) 기타 : 마이틸리어, 타루어, 네와르어 등 120개 이상의 민족 언어가 존재한다.
2. 기초적인 네팔어
1) 인사말
표현 | 네팔어 [한국어 발음] |
안녕하세요 | नमस्ते [나마스떼] |
반갑습니다 | खुशी लाग्यो" [쿠시 라걀] |
고맙습니다 | धन्यवाद [단야바드] |
실례합니다 | माफ गर्नुहोस् [마프 께르누호스] |
죄송합니다 | क्षमा गर्नुहोस् [쌰마 께르누호스] |
다시 만나요 (이별 인사) | फेरि भेटौँला [페리 베또울라] |
2) 의사표현
네 (정중) | हो [호] |
응 (친근) | हुन्छ [훈짜] |
아니오 (정중) | होइन [호이낀] |
아니 (친근) | हुँदैन [훈다인] |
좋아 | राम्रो [람로] |
좋아요 | राम्रो छ [람로 처] |
정말 좋아요 | एकदम राम्रो छ [엑담 람로 처] |
싫어 | मन पर्दैन [먼 뻐르다인] |
싫어요 | मलाई मन पर्दैन [말라이 먼 뻐르다인] |
정말 싫어요 | एकदमै मन पर्दैन [엑다매이 먼 뻐르다인] |
3) 감정표현
기뻐요 | म खुशी छु [마 쿠시 추] |
대단해요 | अद्भुत छ [아드부트 처] |
신기해요! | अचम्म छ! [아쩜 처!] |
화나요 | मलाई रिस उठ्यो [말라이 리스 웃흐요] |
슬퍼요 | म दुःखी छु [마 두키 추] |
괜찮으세요? | ठीक छ? [틱 처?] |
안타깝네요 | दुःख लाग्यो [두크 라걀] |
4) 자기소개
소개와 관련된 문장 | 네팔어 [한국어 발음] |
저의 이름은 '이름'입니다 | मेरो नाम '이름' हो [메로 남 '이름' 호] |
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 तपाईंको नाम के हो? [따빠잉꼬 남 께 호?] |
저는 한국에서 왔습니다 | म कोरियाबाट आएको हुँ [마 코리야바타 아이꼬 훙] |
5) 호칭
(1) 정중한 호칭
당신이라는 의미의 तपाईं [따빠이]를 쓰면 된다. 네팔은 연장자를 존중하는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연장자에게는 존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친근한 호칭
- तिमी [띠미] : 약간의 존중을 포함해서 나이가 비슷한 사람, 친구, 연인 관계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다.
- तँ [땅] : 매우 가까운 친구나 동생에게 사용하는 단어다. 반말 느낌이라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피해야 한다.
(3) 관계 호칭 표현
표현 | 네팔어 [한국어 발음] |
형/오빠 | दाइ [다이] |
누나/언니 | दिदी [디디] |
남동생 | भाइ [바이] |
여동생 | बहिनी [버히니] |
위 명칭들은 친근감과 존중을 동시에 담은 것으로 처음 만났을 때도 예의 바르게 사용하면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3. 네팔인과의 스몰토크 소재
1) 네팔의 전통적인 음식
- 네팔의 전통적인 음식으로는 달밧 (दालभात)과 모모 (मो:म:)가 있다
(1) 달밧은 기본 구성으로 밥(밧)과 렌즈콩 수프(달)가 제공되고, 여기에 야채볶음, 야채절임, 고기요리, 카레가 추가로 곁들여진다.
(2) 모모는 만두의 일종이다. 고기나 채소로 속을 채우고, 찌거나 튀기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 이제 이 달밧과 모모를 가지고 할 수 있는 표현들을 소개해보겠다.
(1) 맛있어요 : मिठो छ! [미토 처!]
ex) 달밧 맛있어요는 '달밧 미토 처!'라고 하면 된다.
(2) 더 주세요 : अलिकति थप दिनुहोस्। [알리까띠 탑 디누호스]
ex) 모모 더 주세요는 '모모 알리까띠 탑 디누호스'라고 하면 된다.
2) 네팔의 특산물
- 네팔에서 구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념품으로는 파시미나와 고품질 차(Tea)가 있다.
(1) 파시미나(Pashmina) : 히말라야 지역의 염소 털로 만들어지는 고급 목도리를 의미한다. 매우 부드럽고 따뜻하며 고급스럽다.
(2) 네팔차 (Nepal Orthodox Tea) :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든 차로 히말라야 지역에서 재배된 잎으로 만든다.
> 이제 이 파시미나와 네팔차를 구입할 때 할 수 있는 표현들을 표로 정리해 보겠다.
물품 구입과 관련된 문장 | 네팔어 [한국어 발음] |
가격이 얼마인가요? | यो कति हो? [요 까띠 호?] |
이거 좋아요 | यो राम्रो छ। [요 람로 처] |
이거 주세요 | यो दिनुहोस्। [요 디누호스] |
깎아 주세요 | केहि सस्तो गर्नुहोस्। [께히 쏘쏘 께르누호스] |
마지막으로, 힌두 문화에서는 왼손을 불결한 손으로 여기기 때문에 식사할 때나 물건을 주고받을 때는 오른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소는 힌두교에서 신성한 동물로 여겨지므로 네팔 사람과 대화할 때는 소고기나 소고기 요리에 대한 언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에 대한 부정적 표현도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존중해서 네팔인과 원활하게 대화하기 바란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키스탄 기본 정보부터 기초적인 우르두어까지, 첫 만남 완벽 준비 가이드 (0) | 2025.05.05 |
---|---|
인도 사람과 어색하지 않게 대화하는 방법 : 기초 힌디어로 인사부터 스몰토크까지 (0) | 2025.05.04 |
튀르키예 사람과 잘 지내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문화와 터키어 인사말! (0) | 2025.05.02 |
처음 만난 아랍에미리트 사람과 친해지는 방법 : 아랍어 기초 회화 (0) | 2025.05.01 |
러시아 사람과 대화할 때 꼭 알아야 할 기초 러시아어와 문화 정리 (0) | 2025.04.29 |